건강지식

예로부터 약초 취급 받던 도라지 효능에 대해 알아보자. (ft. 약도라지와 흑도라지와도 비교해보자.)

에이지리스 2025. 4. 22. 03:26

목차

1. 도라지란 무엇인가요?
2. 도라지 주요 영양성분 기능
3. 도라지 영양성분 분석표
4. 도라지 건강 효능
5. 도라지 섭취 시 주의사항과 부작용
6. 도라지 VS 흑도라지 VS 약도라지
8. 요약 정리


1. 도라지란 무엇인가요?

1) 도라지의 정의와 생물학적 분류

도라지는 초롱꽃과(Campan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학명은 Platycodon grandiflorus입니다. 한방에서는 길경(桔梗)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주로 뿌리를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합니다.

도라지의 뿌리는 흰색 또는 연한 보라빛을 띠며, 사포닌이 풍부하여 특유의 쌉쌀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로부터 기침, 가래, 목 통증 등 호흡기 관련 질환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항염, 면역 강화, 항암 작용 등 다양한 기능이 과학적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도라지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전역에서 자생하며, 한국에서는 강원도, 경북, 충청 등지에서 재배되는 국내산 도라지가 특히 약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도라지의 재배 및 전통적 활용

도라지는 씨앗으로 번식하며, 2년차 이후부터 본격적인 약용과 식용 수확이 가능합니다.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활용 방식 설명
생식 생도라지를 얇게 썰어 나물로 무치거나 장아찌로 사용
건조 햇볕에 말려 약재로 활용. 길경탕 등 한약의 재료
조청 가공 도라지를 꿀, 조청에 절여 기침약, 건강간식으로 섭취
즙·농축액 최근에는 도라지즙, 추출액 형태로 건강보조식품 판매

이처럼 도라지는 예부터 음식이자 약이라는 개념에 부합하는 대표적인 약용 식물입니다.

도라지

2. 도라지 주요 영양성분 기능

작용 유형 작용 성분 설명
항염작용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조직 손상 완화
진해거담 사포닌 기침 억제 및 점액 배출 촉진
면역 증진 사포닌, 비타민 C 대식세포·NK세포 활성 증가
항산화 폴리페놀, 비타민 C 활성산소 제거, 노화 지연
혈중 지질 조절 식이섬유, 사포닌 콜레스테롤 저하, 심혈관 건강 유지

 

3. 도라지 영양성분 분석표

영양소 함량 (100g당) 효능
열량 약 60 kcal 저칼로리 식품, 다이어트 시 부담 적음
수분 약 85 g 수분 공급, 생식 시 촉촉한 조직 유지
식이섬유 약 3.4 g 장 건강, 변비 예방, 혈당·콜레스테롤 조절
사포닌 약 120~250 mg 면역 강화, 항염, 진해·거담 작용
비타민 C 약 10 mg 항산화, 면역력 향상, 피부 회복
칼슘 약 45 mg 뼈 건강, 신경 전달 조절
칼륨 약 230 mg 혈압 조절, 나트륨 배출 보조
마그네슘 약 20 mg 근육 이완, 심장 기능 유지
약 50 mg 뼈와 치아 구성, 에너지 대사에 필수
철분 약 0.7 mg 적혈구 생성, 빈혈 예방
플라보노이드 약 8~12 mg 항산화 작용, 염증 억제

※ 사포닌은 재배 환경, 품종, 수확 시기에 따라 편차가 큽니다.

4. 도라지 건강 효능

1) 기침·가래 개선과 호흡기 건강

도라지는 진해·거담 효과가 있는 대표적인 식물입니다. 사포닌 성분이 점액을 묽게 만들어 가래를 배출하기 쉽게 하고, 기침 반사를 완화시켜 기관지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침, 천식 증상 완화에 도움
  • 흡연자 또는 미세먼지 노출이 많은 환경에 적합
  • 도라지차, 도라지청 등으로 섭취 시 효과적

2) 면역력 강화 및 염증 완화

도라지에 함유된 사포닌과 플라보노이드는 면역세포(대식세포, NK세포 등)의 활성을 높여주며, 염증 매개 물질의 생성을 억제합니다.

  • 감염 예방과 회복에 효과적
  • 만성 염증(피부염, 장염 등) 완화
  • 자가면역 질환 환자에게도 보조 효과 기대

3)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 및 항산화 효과

도라지의 사포닌은 담즙산과 결합하여 콜레스테롤 배출을 도와주며, 식이섬유는 LDL(나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는 세포 산화를 방지하여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작용 범위 설명
혈중 지질 개선 사포닌이 담즙산과 결합해 배출 촉진
혈압 조절 칼륨이 나트륨 배출을 도와 혈압 안정화
항산화 플라보노이드가 활성산소 억제

4) 위장 건강 및 소화 개선

도라지의 쌉싸름한 맛은 위액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 기능 개선에도 긍정적입니다.

  • 식후 더부룩함이나 위장 불편감 완화
  • 식욕 증진 효과도 기대 가능

도라지 무침

5. 도라지 섭취 시 주의사항과 부작용

1) 생도라지 섭취 시 주의점

생도라지에는 사포닌 함량이 높아, 날것으로 섭취할 경우 위장 장애나 입안의 자극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사포닌은 비누 성분과 유사해 거품이 나고 장 점막을 자극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 생으로 섭취할 경우 반드시 물에 충분히 담가 쓴맛을 제거해야 함
  • 위가 약한 사람이나 소화력이 떨어지는 사람은 가열 조리 후 섭취 권장

2) 과다 섭취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도라지는 약리적 효과가 강한 만큼, 장기간 또는 과다 섭취할 경우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작용 원인 성분 주요 증상
위장 장애 고농도 사포닌 구토, 복통, 설사
체내 과민 반응 플라보노이드 두드러기, 가려움, 피부 트러블
저혈압 칼륨 저혈압 환자에게 일시적 혈압 저하 가능성

3) 특정 질환자 섭취 시 유의사항

  • 항응고제 복용자: 도라지의 일부 성분은 혈액 희석 작용을 할 수 있어, 와파린 등의 약을 복용 중인 사람은 전문의와 상담 후 섭취해야 합니다.
  • 알레르기 체질: 꽃가루, 약용식물에 민감한 체질은 도라지 섭취 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소량 섭취로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임산부와 어린이: 특별한 금기는 없으나, 장기 복용보다는 간헐적 섭취가 권장됩니다.

6. 도라지 VS 흑도라지 VS 약도라지

흑도라지와 약도라지는 모두 도라지를 기반으로 한 특수 가공 혹은 특정 품종을 의미하며, 기능성 성분의 농도나 활용 목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품종별 영양성분 비교

항목 일반 도라지 흑도라지 약도라지
정의 일반적인 생도라지 도라지를 9번 찌고 말린 흑색 도라지 4년 이상 자란 고품질 도라지
주요 특징 생으로도 섭취 가능 항산화 성분 강화, 흡수율 증가 사포닌 고농도, 약효 중심
사포닌 함량 (100g 기준) 약 120~250 mg 약 300~400 mg 약 350~450 mg
항산화 활성 중간 매우 높음 높음
섭취 난이도 조리 필요 가공된 상태로 섭취 용이 쓴맛 강함, 장기 복용 적합
가격대 일반적 다소 고가 고가 (약재용)

※ 흑도라지는 9증9포(아홉 번 찌고 말림) 과정을 통해 사포닌 구조가 변형되면서 체내 흡수율과 항산화 효능이 증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2) 효능 차이 및 추천 섭취 대상

종류 추천 대상 기대 효과
일반 도라지 일상적인 건강식 장 건강, 가벼운 기침 완화, 식이섬유 섭취
흑도라지 면역력 강화 및 항산화 목적 만성 피로, 염증, 면역력 저하
약도라지 집중적인 약효가 필요한 경우 기관지염, 천식, 고혈압, 노약자용

흑도라지는 일반 도라지보다 몸을 덜 자극하면서도 깊은 약효를 나타내는 반면, 약도라지는 성분이 농축되어 있어 체질에 따라 맞지 않으면 위장 장애나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즉, 일반 건강관리 목적이면 생도라지나 데친 도라지, 강한 면역력·항산화 목적이라면 흑도라지, 치료 보조나 고기능성 목적이면 약도라지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도라지약도라지흑도라지

8. 요약 정리

1) 도라지의 핵심 건강 효과 요약

주요 효능 작용 성분 건강 효과
진해·거담 사포닌 기침 완화, 가래 제거, 호흡기 건강 개선
항염 및 항산화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염증 반응 억제, 세포 보호
면역력 강화 사포닌, 비타민 C 대식세포 및 NK세포 활성
심혈관 건강 식이섬유, 칼륨 콜레스테롤 조절, 혈압 안정화
소화 촉진 쌉싸름한 배당체, 위 자극 성분 위액 분비 촉진, 소화력 증강

 

도라지하면 대표 영양 성분을 사포닌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인삼과 필적할 정도의 사포닌이라는데 그렇다면 인삼대신 섭취해도 괜찮을 것 같네요.

 

면역지질, 항염작용, 항산화 등의 효능이 있다니, 괜히 예로부터 약초라고 불려 온 게 아닌 듯합니다.

 

그리고 도라지를 품종 개량을 한 흑도라지와 약도라지가 사포닌이 훨씬 많이 함유되어 있고 항산화 효과도 훨씬 뛰어난 것 같네요.

소화를 잘 못하는 분들이 아니라면 도라지보단 흑도라지와 약도라지를 섭취하는 게 가성비 좋아 보입니다 :)